신호가 송신기에서 안테나로 전달될 때 전력 손실이 발생하는데요,전력 손실은 두 가지 형태로 나타납니다. 1. 안테나가 보낸 전력 중 일부가 다시 송신기로 돌아온다. (반사손실)2. 케이블 자체에서 열로 변환되어 전력이 사라진다. (삽입손실) 반사손실 반사손실이란? 반사손실(Return Loss)은 돌아오는 손실이라는 뜻입니다.신호가 목적지로 가지 못하고 다시 돌아오는 정도를 말하죠. 쉽게 설명하자면, 송신기에서 안테나로 전력을 보낼 때 일어나는 현상입니다.안테나가 전력을 잘 받아들이지 못하면, 일부가 다시 케이블을 타고 송신기로 돌아옵니다. 반사손실 값이 클수록 시스템이 잘 작동한다는 뜻입니다. (헷갈리죠? 손실이면 값이 작을수록 좋은 것 같지만..;;)즉, 반사되어 낭비되는 전력이 적다는 의미입..
스미스 차트.. 처음 보았을 땐 둥근 원에 격자무늬가 무슨 마법진 같았습니다.(이걸 도대체 어떻게 이해해야 하나 살짝 무섭기도 했고요 허허)스미스 차트는 임피던스를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그래픽 계산자 같은 것입니다. 이 글에서는 스미스 차트의 개념과 구조, 활용법에 대해 쉽게 설명하겠습니다. 스미스 차트란 무엇인가? 스미스 차트는 RF 엔지니어들이 예전에 사용했던 계산자와 같은 것입니다.1939년 벨 연구소의 필립 스미스가 만들었습니다. 스미스 차트는 RF 회로의 복소 임피던스를 시각적으로 보여줍니다.안테나, 전송선로의 임피던스가 주파수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지 보여주는 것이지요.복잡한 수식 계산 없이 차트 위에서 계산해 낼 수 있습니다. 오늘날에는 컴퓨터로 바로 계산을 합니다만,그래도 스미스..
HAM 무선, RF 분야에서는 신호의 반사와 전달량을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안테나 튜닝에서 측정하는 정재파비(SWR)와 반사손실(return loss)은 이 개념과 연결되어 있습니다.고주파 회로는 전압과 전류 대신 에너지의 흐름으로 회로를 이해하는데,이때 유용한 개념이 S-파라미터입니다. S-파라미터는 네트워크의 각 포트에 들어간 신호가 얼마나 반사되고,다른 포트로 얼마나 전달되는지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2 포트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S-파라미터,특히 S11과 S21를 알아보겠습니다. 이해를 돕기 위해 물이 흐르는 수도관으로 비유하여 설명하겠습니다. S-파라미터란 무엇인가? S-파라미터(Scattering Parameter)는 RF 회로, 시스템의 특성을 보여주는 지표입니다.각 포트에서..
무전기를 통해 송신된 전파 신호는흔히 일방향으로 쭉 나아가 안테나에서 방사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하지만 신호가 다시 송신기로 돌아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현상은 산에서 소리쳤을 때 들리는 메아리와 비슷합니다.소리가 절벽에 부딪혀 되돌아오듯,전파 신호도 메아리처럼 돌아올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전파 신호가 왜 돌아오는지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키워드: 임피던스 매칭, 정재파, SWR, 반사계수 임피던스 매칭과 반사파 무선 송신 시스템은송신기(무전기) - 전송선로(케이블) - 안테나로 구성됩니다. 송신기에서 나온 고주파 전류는 케이블을 통해 안테나로 전달됩니다.안테나는 이 전력을 전자기파로 바꿔 공중에 내보냅니다. 임피던스는 전기 신호의 흐름에 대한 저항과 같은 개념입니다.송신기, 케이블, 안테..